신나는 미식 세상
[요리 과학] 고기 맛있게 굽는 비결 제 1탄 마이아르 반응(Maillard Reaction) 본문
[요리 과학] 고기 맛있게 굽는 비결 제 1탄 마이아르 반응(Maillard Reaction)
요리 해설하는 남자 2017. 12. 16. 03:30안녕하세요. 요리 해설하는 남자입니다. 우리가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즐거운 삼겹살 파티를 할 때를 떠올려 보죠. 생고기가 불판 위에 올라가고 강한 화력에 익혀지다가 이내 회색 빛으로 겉이 변합니다. 이와 동시에 몇몇 성질 급한 부류들은 "됐다."는 제스쳐를 취하며 젓가락을 움직이기 시작하죠.하지만 세심하고 항상 사물의 변화를 예의주시하는 이들은 그들의 성급한 젓가락질을 만류하고 조금 더 인내하기를 종용합니다. 그리고 삼겹살 구이의 바깥쪽을 따라 노르스름한 크러스트가 형성되는 것이 목격될 때 비로소 그들의 돌격을 허가하죠. 이렇게 식탁 위의 사령관들은 어떤 전문적인 배움도 없이 오직 그들만의 예리한 감각으로 허여멀건 것과는 비교할 수도 없는 풍미의 골든 브라운 삼겹살의 존재를 전파하는 은혜를 베풀어왔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허여멀건 삼겹살과 노릇노릇한 삼겹살의 맛 차이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지금부터 저 요리 해설하는 남자와 함께 그 이유를 파헤쳐 봅시다.
1. 마이아르 반응(메일라드 반응 이라고도 합니다.)
마이아르 반응이란 말이 너무 전문적으로 들려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우리가 충분히 달군 불판에서 고기를 구울 때 고기의 겉에 노르스름한 크러스트가 생기는 현상을
마이아르 반응이라고 합니다. 알고 보면 아주 익숙한 현상이죠.
마이아르 반응이란 1912년 프랑스의 화학자 루이 까미유 마이아르(Louis Camille Maillard)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그의 이름으로 명명된 화학 반응의 일종입니다. 이것은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재료가 비교적 높은 온도로 가열 조리될 때 당과 결합해 맛 화합물들을 생성하는 과정이죠. 마이아르 반응은 수백가지의 불안정한 화합물들을 생성하는 매우 복잡한 화학 반응으로 그 과정이 아직 정확하게 파악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육류의 조리에 있어 마이아르 반응이 맛의 깊이를 더 해준다는 것이에요.
2. 마이아르 반응을 이끌어 내는 방법
이번엔 마이아르 반응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유용한 정보이었기를 바랍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 저녁은 삼겹살 구이 어떤가요? 노르스름하게 될 때까지 익혀주는 것 잊지 마시구요.
'요리 해설하는 남자가 알려주는 유용한 요리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리 과학] 세 가지 종류의 삶는 법과 닭가슴살 (6) | 2017.12.17 |
---|---|
[요리 과학] 고기 맛있게 굽는 비결 제 2탄 육즙의 보존 (3) | 2017.12.16 |
[식재료 이야기] 소고기의 마블링(Marbling)과 등급결정 (0) | 2017.12.16 |
[식재료 이야기] 인공조미료 MSG의 유해성에 대한 진실 (0) | 2017.12.15 |
[요리 과학] 감칠맛(Umami)이 생기는 원리 (0) | 2017.12.15 |